1. 사람의 말하는 태도나 자세를 보면 성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
(1) 말이 빠르고 활발한 사람
- 외향적이고 적극적인 성격으로
대화를 주도하는 걸 좋아하고 아이디어가 많습니다. 또한 사람들과 어울리는 걸
즐기고, 리더 역할을 맡아 잘 합니다, 하지만 가끔 성급하거나 남의 말을 잘 안
들을 수도 있습니다.
(2) 말이 느리고 조용한 사람
- 신중하고 내향적인 성격의 소유자로
감정을 쉽게 드러내지 않고, 생각이 깊으며, 차분하고 듣4는 걸 좋아해서 고민
상담을 잘 들어주는 스타일 입니다. 하지만 소극적으로 보이거나 쉽게 표현을
안 해서 오해를 살 수도 있습니다.
(3) 말을 부드럽게 하고 몸짓이 차분한 사람
- 친절하고 배려심 많은 성격
상대방 기분을 신경 쓰고, 따뜻한 분위기를 만들려고 합니다.
조용한 카리스마가 있고, 도움 주는걸 좋아합니다. 그러나, 본인 의견을 강하게
주장하지 못해서 손해 볼 때도 있습니다.
(4) 말할 때 손짓이 크고 표현이 풍부한 사람
- 감정이 풍부하고 열정적인 성격은
감정을 숨기지 않고 솔직하게 표현하며,분위기를 쉽게 띄우고, 유머 감각이
뛰어난 경우가 많습니다. 또한 감정 기복이 커서 쉽게 흥분하거나 실수를
할 수도 있습니다.
(5) 말할 때 눈을 잘 마주치지 않는 사람
- 수줍거나 신중한 성격
낯을 가리거나 긴장하면 눈을 잘 못 마주칠 수 있습니다. 생각이 많고 분석적인
성향이 강할 수도 있습니다. 또한 상대방이 오해할 수도 있어서 자신감을 가지는
연습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.
이렇게 대화 스타일만 봐도 어느 정도 성격을 알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성격은 한
가지 요소로 결정되는 게 아니니까, 참고만 하면 좋겠습니다.
2. 각각의 성격에 맞추어 대화하는 방법
사람마다 말하는 스타일이 다르니까, 그에 맞게 의사소통 하면 더 좋은 대화를 할 수 있겠지요,
각각의 성격에 맞게 대화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.
(1) 말이 빠르고 활발한 사람과 대화할 때
◼︎ 핵심만 간결하게하며, 리액션을 크게 합니다.
좋은 예는 ; A : “야! 이번 주말에 놀이공원 갈 건데 같이 갈래?”
B : 오! 재밌겠다! 나도 갈게! 몇 시에 모일까?”
나쁜 예 : A : “야! 이번 주말에 놀이공원 갈 건데 같이 갈래?”
B : "음… 그런데 날씨는 어떨까? 그리고 사람 많을 것 같은데… 예산은?"
(너무 고민이 많으면 지루해할 수도 있습니다)
Tip: 말이 빠른 사람에게는 핵심을 짧고 명확하게 말해 줘야 합니다.
리액션이 크면 더 좋아하며, "와, 진짜?" "대박!" 같은 표현이 효과적 입니다.
(2) 말이 느리고 조용한 사람과 대화할 때
◼︎ 천천히 기다려주고 편안한 분위기 만들어야 합니다.
좋은 예:
A: "어제 영화 본 거 어땠어?"
B: "음… 나는 스토리가 좀 길었지만, 결말은 좋았어."
A: "오~ 맞아! 그 결말 생각보다 감동적이었지?" (부드럽게 공감해 주기)
나쁜 예:
A: "어제 영화 어땠어?"
B: "음… 나는…"
A: "빨리 말해 봐! 재미없었어? 아니면 재밌었어?" (재촉하면 부담스러워 합니다.)
Tip : 말이 느린 사람에게는 대답할 시간을 충분히 줘야 합니다.
"그랬구나~" "어떤 점이 좋았어?” 처럼 부드럽게 질문해 주면 더 말하기 편해 합니다.
(3) 말을 부드럽게 하고 배려심 많은 사람과 대화할 때
◼︎ 부드럽게 공감해 주고, 감정을 존중해 줍니다.
좋은 예:
A: "오늘 좀 피곤해 보여. 무슨 일 있어?"
B: "어… 그냥 일이 많아서 좀 힘들었어."
A: "그랬구나. 많이 힘들었겠다. 쉬는 시간 좀 가지는 게 어때?" (공감해 주기)
나쁨 예:
A: "오늘 좀 피곤해 보여. 무슨 일 있어?"
B: "어… 그냥 일이 많아서 좀 힘들었어."
A: "에이~ 그 정도로 힘들어하면 안 되지!" (상대방의 감정을 무시하면 서운해 할 수 있습니다)
Tip: 감정 표현을 잘하는 스타일이라 공감해 주면 좋아합니다.
너무 강한 말보다는 "네 말 이해해" 같은 따뜻한 반응이 좋습니다.
(4) 말할 때 손짓이 크고 표현이 풍부한 사람과 대화할 때
◼︎ 같이 흥미롭게 반응하고, 감정을 표현하기
좋은 예:
A: "야! 나 오늘 엄청 웃긴 일 있었어! 길 가다가 강아지가…"
B: "뭔데 뭔데?! 빨리 말해봐!!" (적극적인 리액션)
나쁜 예:
A: "야! 나 오늘 엄청 웃긴 일 있었어! 길 가다가 강아지가…"
B: "아… 그래? (무덤덤)"
Tip: 감정이 풍부한 사람은 대화할 때 반응을 많이 해 주면 좋아합니다.
말투나 표정을 맞춰주면 더 신나게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.
(5) 말할 때 눈을 잘 마주치지 않는 사람과 대화할 때
◼︎ 부드럽게 다가가고, 강요하지 않기
좋은 예:
A: "너가 좋아하는 게임, 어떤 점이 제일 재미있어?"
B: "음… 그냥, 분위기나 캐릭터가 좋아서…"
A: "오~ 너가 좋아하는 캐릭터는 누구야?" (부드럽게 이어가기)
나쁜 예:
A: "너가 좋아하는 게임 뭐야?"
B: "음… 그냥…"
A: "왜 그렇게 조용해? 당당하게 말해봐!"
(부담스럽게 만들면 오히려 더 말 안 하게 됩니다.)
Tip: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면 더 쉽게 말할 수 있게됩니다.
눈을 마주치지 않더라도 강요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면 됩니다.
※ 이렇게 성격에 맞게 대화 스타일을 맞추면 더 좋은 소통이 가능하겠죠.